재테크 관련 지식을 알려드립니다.

보험설계사로만 20년을 일하면서
억대연봉을 받아온 AIA프라임지점 김대권 지점장이
알려드리는 꼭 필요한 재테크 지식들과
보험에 대한 진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보험설계사의 프라임노트 자세히보기

AIA프라임노트/[ 개수작 ]

[ 지출관리 ] 출테크하라(2) : 내 돈을 알라.

AIA prime note 2020. 8. 15. 17:45

2. 출테크 1원칙 : 내돈을 알라.

 

설마 내돈과 남의 돈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통장에 있는 돈은  ,

그렇지 않은 돈은 남의돈 아닌가 말이다.

맞다. 그런데 안타깝지만  그렇지만은 않다.

 통장에 있는 돈인데 남에 돈인 것도 있다.

 

회계학에서는 고정비 변동비라는 용어가 있다.

고정비 생산량의 변동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지출이 되는 비용으로 

매월 꾸준히 지출이 되는 비용을 말한다.

변동비 생산량의 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비용으로 변동이 되는 지출이다.

 

- 고정비 : 임대료, 정규직원의 인건비, 로열티 

- 변동비 : 원재료비, 비정기적 광고비 

 

그런 기업 회계 용어를 가계의 용어로 

접목을 시킬  있는데 

 가정에도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이 있다고 할수 있다.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야 지출이 있는가 하면 

변동이 되는 지출도 있는것이다.

 

고정지출 다양한 것들이 있을  있는데 

기본적인 공과금이나 월세, 수년간 매월 

납입해야 하는 자동차 할부금,

또는 수입이 없는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 

등도 고정지출이 될수 있다.

 

변동지출로는 생활비의 대부분인 

카드대금이나 외식비 등이 있다.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에 대한 회계학적관점으로의 

깊이있는 접근 보다는 내가 쓰고 있는 지출을 

이렇게 분류할 수도 있구나 하는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지고 보면 고정지출이 변동지출이 될수도 있고 

변동지출이 고정지출 처럼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지고 들지는 말자는 말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을 하나 해보자.

 고정지출은  돈인가? ”  

|

그렇다. 매월 500만원씩 월급은 받는 사람이 

자동차 할부 50만원에 부모님 용돈을 매월 20만원씩 

주고있다면 그의 소득을 500만원이라고 할수 없다.

자동차 할부는 납부하지 않으면 

신용에 문제가 생긴다.

 고정비용을 없애기 위해서는 

차를 팔거나 완납을 해버리는 방법 뿐이다.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도 자식들간의 합의로 

매월 정해진 금액을 보내드린  보통인데 

부모님이 돌아가시기 전에는 

계속해서 보내드려야  돈이다.

내돈이 아닌것이다.

 

월급날 500만원을 받았으나 

 할부 50만원에 부모님 용돈 20만원을 빼고 나면 

430만원 남는다.

이렇게 월급에서 고정지출을 제외한 

430만원이 실질적인 내돈이다.

혹시나 독자들 중에서는 

차도 재산인데 나중에 중고차로 팔거나 하면 

 돈이 된다고 봐야 하는거 아니냐  

반문을 하는 경우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차량 할부는 분명한 지출이다.

 

어떤 항목이 고정지출이 맞는지 아닌지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지는 않다.

고정지출의 의미를 이해 했다면 말이다.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 왜 고정지출을 제외한 내돈,

실질 소득을 알아야 하는가 이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월급이 얼마인지를 묻지 않는다.

당신의 연봉이 얼마인지 묻는다.

연봉협상을 통해 소득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따진다.

당연히 연소득이  사람들일 수록 

 많은 지출을  가능성이 크다.

경제학적으로 그래야 내수경제가 

살아난다고 하기도 한다.

사람은 소득이 늘어나면 

당연히 늘어난 소득만큼 

기대하는 지출액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월급이 100만원 상승했다고 

저축액을 100만원 늘리는 가정을 본적이 별로 없다.

소득이 상승했으니 당연히 

지출도   늘어나야 한다는 기대감이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돈이 아닌 고정지출을 제외한 

실질 소득을 알아봄으로써 

진짜로 내돈이 얼마인지를 알게 되면 

전체적인 연소득이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며 

당연히 기대하는 지출액도 줄어 든다.

 내가 500중에 실제 내가 쓸수 있는 돈은 430만원이었어....! ’

 같은 인식으로 실질 소득을 확인 하는 순간

소득 대비 지출액의 비율이 올라간다.

 생활비(카드값,식비,외식비,의류비 ) 

250만원이라고 가정했을때 

▷500만원을 기준으로 소득대비 

생활비의 비율이 50%이지만 

▶만약 430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한다면 

58%  60% 가까운 비율로 올라가게 된다.

 

지출관리 : 출테크의 첫단계는 

이런 불편한 계산을 해보는 것부터 시작된다.

월급중 진짜 내돈이 얼마인지 알고 있는가를

묻는 것에서부터 말이다.